참여 예상업체는 중소기업 위주로 4~5곳…막대한 투자비 때문에 대기업은 '조용'

[중소기업신문=이어진 기자] 정부가 이동통신업체 간 경쟁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통신사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추기로 하면서 제4이동통신사가 이번에는 출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지만, 자금 조달이 다소 어려운 중소기업들만 잇달아 출사표를 던지면서 ‘찻잔 속 태풍’에 그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제4이동통신사 참여를 준비하고 있는 업체들은 4~5곳으로 추정된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6차례 제4이동통신사 사업자 신청서를 냈다 고배를 마신 KMI와 두 번 신청했다 탈락한 IST 등 기존 참여자와 소상공인이 주축이 된 우리텔레콤, 박성도 전 현댐비스 부사장이 이끄는 퀀텀모바일 등이다.

제4이동통신사 설립의 관건은 자금조달이다. 이동통신사 설립에는 조 단위의 투자비가 들어간다. 정부가 망이 구축되지 않은 지역에서 기존 이통사의 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로밍 등의 지원책을 마련해둔 상태이지만 조 단위의 투자비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중소업체들이 조 단위의 자본금, 투자비를 마련하기에는 사실 상 어렵다. 제4이동통신 사업자 신청서를 냈던 KMI, IST 등이 연거푸 고배를 마신 이유도 자금 조달 문제였다.

이 때문에 대기업들이 참여해야 한다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지만, 유력 대기업들은 미동도 하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케이블TV를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는 CJ, 태광그룹과 더불어 미래형 서비스에 관심이 큰 현대차그룹 등이 제4이동통신사 설립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소문이 나오고 있지만, 이들 기업들은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기업들이 다소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막대한 투자비를 회수할 가능성이 다소 낮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진입장벽을 낮춘다 하더라도 수년 간 수조원대의 망 설치비가 들어간다. 마케팅 비용도 필수다. 수조원대의 비용을 들인다 하더라도 이동통신3사 체제로 굳어진 현 상황에서 시장점유율을 단기간에 끌어올려 수익을 내긴 어렵다. 이동통신업계 후발주자인 LG유플러스의 경우도 LTE 상용화 전 다소 어려움을 겪어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동통신 3번째 사업자인 LG유플러스조차 LTE로 완전히 전환한 최근에 들어서야 겨우 수지를 맞추고 있는 상황"이라며 "수익성을 중시하는 민간 기업이 자발적으로 나서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