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위기' 대우조선 경영정상화 성공까지 산 넘어 산
금호타이어 매각 안갯속…박삼구-채권단 갈등 고조
대우건설·KDB생명 등 새주인 찾기도 쉽지 않을 듯

▲ 최근 불거진 '4월 한국경제 위기설'의 진원지인 대우조선해양은 물론 금호타이어, 대우건설 등 KDB산업은행의 관리감독 하에 구조조정이 추진 중인 부실 기업들의 경영정상화에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고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영등포 KDB산업은행 본점 모습. 사진=산업은행 제공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KDB산업은행의 부실기업 살리기가 그야말로 산 넘어 산이다. 최근 불거진 '4월 한국경제 위기설'의 진원지인 대우조선해양은 물론 금호타이어, 대우건설 등 산업은행의 관리감독 하에 구조조정이 추진 중인 기업들의 경영정상화에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고되고 있어서다. 수조원의 자금을 지원받고도 회생에 실패한 STX조선해양과 한진해운의 연이은 법정관리로 거센 비판과 책임론에 시달려야 했던 산업은행으로선 더 이상의 '구조조정 잔혹사'를 끊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였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이날 대우조선 정상화 방안의 키를 쥐고 있는 국민연금과 첫 회동에 나선다. 이번 모임은 대우조선의 재무 현황과 유동성 전망, 경영개선 계획, 채무 재조정의 적정성, 법률적 위험 등을 국민연금 측에 설명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대우조선 채권단과 금융당국은 대우조선에 2조9000억원 규모의 신규 자금을 지원하기에 앞서 회사채 50%를 출자전환하고 나머지는 3년 만기 연장하는 채무 재조정 방안을 제시했다.

국민연금은 내년 상반기까지 만기 도래하는 채무 재조정 대상 회사채 1조3500억원 중 3900억원(29%) 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국민연금이 대우조선 지원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대우조선은 단기 법정관리인 '프리패키지드 플랜(P-플랜)'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

대우조선은 다음달 17일과 18일 이틀 동안 5회에 걸쳐 사채권자집회를 진행한다. 내년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1조3500억원의 채무 재조정을 시도하는 데 집회의 5번 중 1번이라도 부결이 나오면 산업은행이 계획한 '자율적 구조조정'은 물거품이 된다.

산업은행 입장에선 대우조선을 살리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곪을 대로 곪은 대우조선이 회생에 실패할 경우 관리·감독 책임의 화살이 집중적으로 산업은행을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의 경영난은 조선업 수주절벽 등 글로벌 경기불황 여파에 더해 산업은행의 총제적 관리·감독 부실과 임직원의 도덕적 해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감사원은 지난해 6월 대우조선 부실이 산업은행의 부실한 관리·감독과 대우조선의 방만경영이 낳은 합작품이라는 감사결과를 내놓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막대한 혈세가 투입된 대우조선이 결국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되면 이에 대한 책임 추궁으로 산업은행은 거센 후폭풍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른 부실기업의 구조조정을 맡길 수 있겠냐는 국책은행 회의론도 다시 불거질 수 있다"고 말했다.

금호타이어 매각작업도 안갯속이다. 중국 국영 타이어회사 더블스타에 인수될 예정이었던 금호타이어는 당초 주인이었던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이 채권단에 대해 자신도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수할 수 있도록 요구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앞으로 박 회장 측이 금호타이어 매각을 법적 소송으로 끌고 갈 가능성이 높은 데다 만일 채권단이 금호그룹의 컨소시엄 구성안을 허용하더라도 더블스타의 반발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여기에 정치권과 금호타이어 노조의 반발도 변수다. 야당 정치인들은 금호타이어의 해외 매각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고, 금호타이어 노조는 더블스타와 박 회장 양측 모두에 반대 입장을 밝힌 상태다.  

산업은행이 연내 매각을 계획 중인 대우건설과 KDB생명의 새주인 찾기가 성공할지도 관심거리다. 최근 대우건설이 감사보고서 '적정' 의견을 받으면서 업계에서는 이르면 다음달 중에 매각공고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KDB생명의 네번째 매각 시도도 진행된다. KDB생명은 2014년 두 차례 매각이 불발된 데 이어 지난해 말 세번째 시도도 무산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