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우리나라 자영업가구의 부채 건전성이 상용근로가구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김재칠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자영업가구의 부채 구조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자영업가구가 상용근로가구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많은 부채를 쓰고, 부채 건전성도 더 나쁜 것으로 드러났다"며 "한계가구 측면에서도 자영업가구의 문제가 심각한 만큼 채무조정, 복지재원 등을 통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통계청의 '2016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토대로 상용근로가구의 총부채상환비율(DTI)이 171.0%인 데 비해 자영업가구는 321.9%로 2배에 육박했다. 보유자산의 매각을 통한 부채의 완전 상환능력을 의미하는 자산총액 대비 부채총액비율(DTA)도 상용근로가구 43.1%, 자영업가구 53.1%로 자영업가구의 상환능력이 낮았다.

김 연구위원이 9176가구를 대상으로 한 통계청 자료로 연간 원리금 상환액과 연간 가처분소득 등을 분석한 결과 DTA 100%를 적용한 상용근로가구는 12만가구가 6조9000억원의 금융부채를, 자영업가구는 9만가구가 22조원의 금융부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DTA 100%는 소비액수를 최대한 줄여도 매년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 전액을 다 갚을 수 없고, 보유자산을 모두 처분해야 부채를 갚을 수 있는 가구다.  한계상황에 도달한 자영업가구 수 자체는 상용근로가구보다 적지만 금융부채 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 위험도가 높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자영업가구의 부채가 단시일 내에 부실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금리가 올라가고 경기침체가 심화하면 부실화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커진다"며 "영세 자영업자의 경우 부채 건전성이 가장 심각한 만큼 금리, 상환 만기 조정 등 채무조정을 통해 현금흐름을 개선해주는 등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