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약정 요금할인에 이통사 유턴 고객 급증…보편적요금제 도입도 예고

[중소기업신문=이수정 기자] 선택약정 25% 요금할인 제도가 시행되고 보편적요금제 도입이 추진되는 등 정부의 통신비 절감 정책이 속도를 내면서 알뜰폰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낮아진 요금부담에 다시 이동통신 3사로 유턴하는 고객이 늘어나는 등 후폭풍을 맞고 있다. 기대치를 높였던 도매가 인하도 예상보다 낮은 수준으로 결정되면서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통신비 인하를 위해 출범한 알뜰폰의 의미가 퇴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달 알뜰폰 가입자의 이탈 현상은 심화됐다. 9월에는 알뜰폰에서 이통 3사로 옮겨간 고객이 유입 고객보다 366명 많았고, 10월에는 1648명으로 격차가 더욱 커졌다.

올해 1분기까지만 해도 이통사에서 알뜰폰으로 유입된 고객이 이탈 고객보다 2만명 이상 많았지만 2분기부터 급감하기 시작해 7월에는 처음으로 이탈 고객이 유입 고객을 추월했다. 8월 잠시 유입 고객이 앞섰지만 9월부터 다시 역전됐다.

알뜰폰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9월 선택약정 25% 요금할인을 출시하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갤럭시노트8 등 프리미엄폰이 이통3사에서 대거 출시된 것도 배경으로 꼽힌다.

이런 상황에서 도매대가 마저 알뜰폰업계의 기대 보다 낮은 수준에서 결정됐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통사로부터 통신망을 빌려 사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통사에 망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는데 정부와 망 의무제공 사업자인 SK텔레콤이 매년 협상을 거쳐 결정한다.

협상 결과 양측은 LTE 정액요금제(데이터 요금제)의 수익배분 도매대가 비율을 전년 대비 평균 7.2%포인트 인하했다. 하지만 애초 목표치 10%포인트보다는 낮다. 데이터를 300MB~6.5GB 제공하는 구간은 평균 11.7%포인트 내려갔고 데이터 11GB 이상의 경우 1.3∼3.3%포인트 인하됐다.

도매대가 비율이 낮을수록 알뜰폰 사업자가 이통사에게 지급하는 이용료가 줄게 되며 그에 따라 요금정책 등에서 고객 혜택을 늘릴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알뜰폰이 2011년 출범 후 적자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번 협상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던 알뜰폰 업계는 실망감을 내비치고 있다. 현재 누적 영업 손실 규모는 3309억원에 달한다.

더욱이 정부와 이통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있는 보편요금제마저 도입되면 대다수 중소업체는 직격탄을 피하기 힘들 전망이다. 보편요금제는 월 2만원 수준에서 기존 데이터 최저 요금제보다 많은 음성 통화와 데이터를 제공하는 요금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련법 개정을 거쳐 내년 이동통신시장의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을 통해 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입법 예고 과정에서 이통 3사는 의견서를 내고 시장경쟁 위배, 투자 여력 감소 등을 이유로 반대 의견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부는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