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12월 금리 인상 기정사실, 내년엔 3~4차례 인상 전망
한미 금리역전 가능성 커져…외국인 자금이탈 우려 여전
1420조원 가계부채·수출전선에도 부정적 영향 불가피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2월 정책금리 인상이 유력시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파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이 유력시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파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이달 금리인상이 예견된 만큼 시장에 주는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지만, 외국인 자본의 이탈 현상과 기업과 가계 등 경제주체의 불안감 증폭, 142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 문제 등은 여전히 불안요인이다. 특히 미국의 금리인상 효과가 신흥국의 경제불안과 겹치며 글로벌 시장 전반에 영향을 주는 복합 충격으로 발전할 경우 최근 회복세를 보이는 국내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연준은 12~13일(현지시간) 이틀간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선 연준이 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1.25∼1.50%로 0.25%포인트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정책금리가 인상되면 상단이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50%)와 같은 수준이 된다. 양국 정책금리는 지난 6월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같아졌고, 이후 11월에 한은이 먼저 올려뒀다. 이런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 자본이 빠져나갈 우려가 커지게 된다. 자본을 운용하는 입장에서 금리가 같다면 신용도가 높고 안정적인 투자처인 미국 금융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내년에 미국이 3~4회 이상 금리를 올리면 양국 정책금리는 역전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시장에서 예상하는 한은의 내년 금리인상 횟수는 1∼2회 뿐이기 때문이다. 양국의 금리가 역전된다고 해서 당장 대규모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은 낮지만, 금리 역전은 금융불안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오랜 기간 방치하기에는 부담스러운게 사실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무엇보다 우리나라 경제를 뒤흔들 뇌관으로 부상한 가계와 기업부채에 더 큰 악재로 작용한다. 현재 시중금리 상승기조가 뚜렷한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이 금리 상승을 부추길 경우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대출이자 부담은 이미 임계치를 넘어선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키고, 저금리 혜택 속에서 수명을 연장해 온 영세기업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 수 있다.

가계가 짊어진 전체 빚을 보여주는 가계신용 잔액은 올 3분기 말 기준 1419조1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1조2000억원(2.2%) 늘었다. 이는 한국은행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대 수준이다. 자영업대출을 포함한 중소기업대출 잔액도 지난달 말 기준으로 629조2000억원을 기록, 전월대비 3조7000억원 늘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우리나라 수출전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흥국 경기침체, 달러화 강세, 유가 하락 등을 유발하는 만큼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에 어려움이 가중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내년에 금리인상 속도를 높일 경우 수출 전망에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도 기업경영에 위협요인이다. 환율은 국내 수출기업의 단기적인 수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가격변수로, 대기업에 비해 환위험 관리 능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들은 환율 변동성 확대에 따른 경영상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기업, 가계 등 경제주체의 불안감을 키워 실물경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며 "특히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신흥국 시장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경계도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