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수주 부진속 실적 버팀목 국내 주택시장마저 빨간등

[중소기업신문=김경호 기자] 정부가 분양가상한제 대상이 될 지역을 발표하면서 건설업계의 표정이 두워지고 있다. 해외 수주가 부진한 상황에서 그동안 실적 버팀목이 돼왔던 국내 주택시장의 타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주택비중이 큰 건설사를 중심으로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지난 6일 1차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대상이 될 서울 27개 동을 발표했다. 일찌감치 시장에서 예상했던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에 영등포구가 추가됐다.

발표 이후 상한제 대상 지역은 일단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확산하고 있지만 리스트에서 제외된 지역에선 매물이 회수되는 등 리스크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분양가상한제란 주택을 분양할 때 택지비와 건축비에 건설업체의 적정 이윤을 보탠 분양가격을 산정해 그 가격 이하로 분양하도록 정한 제도다. 감정평가된 아파트 토지비에 정부가 정해 놓은 기본형 건축비를 더하는 방식으로 분양가가 산정된다. 강력한 분양가격 통제 제도로 꼽힌다. 실제 국토교통부는 상한제 확대로 서울 3개 단지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기존 시세보다 20~30% 저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불똥은 건설업계로 튀고 있다. 그동안 건설업계는 해외 수주 부진을 국내 주택시장에서 상쇄시켜왔다. 주요 대형건설사들의 영업이익에서 절반이 국내 주택 분야에서 채워졌다. 특히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건설사들에게 수익성 효자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분양가 제한으로 수주물량 감소와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김치호 연구원은 "이번 발표가 1차 지정이며 향후 시장 불안 우려가 있는 경우 추가 지정할 방침이라는 점이 중요하다"며 "서울 전 지역은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위한 정량 요건을 충족했으며 언제든 규제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 분양시장 침체로 수도권·재건축 중심으로 주택사업을 추진해온 대형건설사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줄어드는 일감으로 심화하는 업체 간 경쟁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미 건설사들의 실적이 주춤거리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의 파장은 더욱 클 전망이다. 올해 3분기 삼성물산·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대우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상위 5위 건설사의 총 매출액은 18조508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0조6563억원)에 비해 10.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조1418억원에서 9848억원으로 13.7% 감소했다.

주가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정부 발표 이후 주요 건설사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 현대건설이 전일대비 0.66%(300원) 하락한 4만5050원을 기록했고 대림산업(-0.64%), 대우건설(-0.21%), GS건설(-1.68%) 등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한 상황이지만 실적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주가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특히 주택비중이 큰 사업자의 경우 영향은 더욱 클 전망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