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수도권 집값의 상승세가 여전하다. 대출을 규제해 수요를 억제했던 6·27 대책의 약발은 떨어져 가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공급을 늘리겠다는 9·7 대책은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잘 통하지 않는 분위기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12로 전월(111)보다 1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 6월 120까지 치솟았다가 7월 109로 급락한 뒤 8월 111로 반등한 데 이어 이달에도 오름세를 이어간 것이다.

지수가 기준선(100)을 웃돌면 1년 뒤 집값이 지금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는 응답자가 더 많다는 뜻이다.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이번 조사기간이 9·7 대책 직후였는데도 주택가격 전망이 소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며 “오름폭이 크지 않고 6월(120)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장기 평균(107)보다는 여전히 높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 팀장은 “6·27 대책 이후 지수가 크게 꺾였다가 두 달 연속 오르고 있지만 오름폭이 크지 않아 정책 효과 여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한강벨트에 해당하는 강동구와 마포, 성동, 광진구의 아파트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는 모습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0일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8월 매매 거래량(이하 계약해제 건 제외)은 총 4017건으로 7월의 3945건을 넘어섰다.

8월 거래량은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열흘 가까이 남아 있는데 이미 7월 거래량보다 많은 것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월에 1만건을 넘어섰다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한 6·27 대출 규제 이후 7월 거래량은 4000건 미만으로 줄었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다시 거래량이 늘기 시작하면서 이 추세가 이어지면 8월 거래량은 7월보다 1000건 정도 많은 5000건 수준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한강벨트 지역과 대출 규제의 영향이 적은 강북의 거래량이 많이 늘었다. 성동구는 현재까지 8월 매매 신고 건수가 총 197건으로 7월(102건)의 2배 수준(93.1%)을 기록하며 25개 구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성북구(329건)가 전월 대비 67.0% 증가하며 뒤를 이었고, 강동구(65.3%), 중구(48.6%), 마포구(44.2%), 동작구(36.6%), 광진구(24.6%) 등 한강벨트 위주로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늘어나는 거래량은 연일 경신되는 신고가가 뒷받침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3일 마포구 염리동 마포자이(전용면적 113㎡)가 26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또 다음날에는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전용면적 84㎡)도 25억3000만원에 거래되면 손바뀜했다.

시장 과열은 9·7 대책 이후 성동구와 마포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될 것이란 소문이 돌면서 막차수요가 몰린 데서 비롯됐다. 토지거래허가제 등 규제가 추가돼도 집값 상승세를 꺾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또 정부 공급 대책이 시장 기대를 충족하지 못한 점도 매수심리를 자극했다. 이 외에도 서울 인기 지역에서 시작된 풍선효과는 외곽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모습이다. 결국 9·7대책이 똘돌한 한채를 반드시 매수해야 한다는 인식을 강화시킨 셈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