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호실적에도 지역은행 연쇄 부실대출 발생에 투심 악화

미국 지역은행들의 부실 대출이 연이어 터져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사진/pixabay 
미국 지역은행들의 부실 대출이 연이어 터져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사진/pixabay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또다시 변동성 장세를 연출하면서 하락 마감했다. 미국 지역은행들의 부실 대출 문제가 연이어 터져 나오면서 2023년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상태 등 트라우마륵 떠올린 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01.07포인트(0.65%) 하락한 4만5952.2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1.99포인트(0.63%) 내린 6629.07, 나스닥종합지수는 107.54포인트(0.47%) 떨어진 2만2562.54에 장을 끝마쳤다.

이날도 증시는 과격한 변동성을 드러냈다. 나스닥 지수는 장 중 0.96%까지 오르다 -1.17%까지 낙폭을 확대하는 등 롤러코스터를 탔다.

장 초반 증시는 TSMC의 호실적이 순풍 노릇을 했다. 대만의 TSMC는 지난 3분기 순이익이 4523억대만달러(약 21조원)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고 발표했다.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결과다.

하지만 오후 들어 지역은행의 부실이 또 터져 나오면서 투자 심리가 급랭했다. 3대 주가지수 모두 빠르게 하락 전환한 뒤 낙폭을 확대했다.

자이언스 뱅코프는 자회사 캘리포니아 뱅크앤드트러스트가 취급한 상업 및 산업 대출 가운데 5000만달러 규모를 회계상 손실로 처리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지방은행인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WAB)도 캔터그룹에 대한 선순위 담보권을 행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두 은행의 사례는 모두 부실 대출 우려를 키우고 있다. 두 은행은 모두 최근 파산한 자동차 부품업체 퍼스트 브랜드 그룹에 대한 익스포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제기된 부실 대출 우려는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의 최근 발언과 맞물리며 공포심을 더욱 자극했다.

다이먼은 앞서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최근 자동차 담보대출 업체 트라이컬러가 파산한 것과 관련해 "바퀴벌레가 한 마리 나타났다면 아마도 (실제로는) 더 많을 것"이라며 "모두 미리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자이언스의 주가는 13.14% 급락했다. 웨스턴 얼라이언스의 주가는 10.81% 내려앉았다.

미국 투자은행 제프리스 또한 주가가 10.62% 급락했다. 제프리스는 지난달 말 파산한 자동차 부품 공급사 퍼스트브랜즈에 투자한 사실이 알려진 이후 투매 대상이 되고 있다. 이날 지역은행 부실 우려가 제프리스에도 번진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은행 상장지수펀드(ETF)인 KBW ETF의 가격은 이날 3.64% 급락했다. 뉴욕증시에서 지역은행 지수는 52주 최고치 대비 16% 하락한 상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0월 기준금리가 50bp(1bp=0.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이 한 달여 만에 다시 등장했다.

50bp 인하 확률은 5.3%로 반영됐다. 지역은행 부실 우려를 계기로 '빅컷(50bp 금리인하)'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4.67포인트(22.63%) 급등한 25.31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