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두산밥캣 호실적 기저효과…두산에너빌리티 체코 원전 수주 내년 반영

사진/두산
사진/두산

㈜두산이 올해 2분기 매출액 4조5922억원, 영업이익 3367억원을 달성했다.

26일 두산에 따르면 매출액은 지난해 두산밥캣의 실적 호조에 따른 높은 기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7.6%, 영업이익은 34.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2% 증가한 2163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누적 실적은 매출액 9조546억원, 영업이익 6846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2.8%와 19.5% 감소했다.

두산 자체사업 2분기 실적은 매출액 3251억원, 영업이익 379억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0.1%와 64.8% 증가했다.

두산은 "전방시장이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며, 전자BG의 실적 개선 영향이 주효했다"며 "하반기도 AI가속기용 동박적층판(CCL)을 비롯한 전자BG의 하이엔드 제품 매출 확대가 예상돼 매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4조1505억원, 영업이익 309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8.6%, 영업이익 37.4% 감소한 수치다. 상반기 수주는 1조8971억원, 수주잔고는 14조5278억원이며, 7월 실적 포함 시 누적 수주는 약 2조5000억원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의 체코 신규 원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따라 주기기 제작과 시공 분야 수주가 내년으로 예상되며, 이를 기반으로 체코 후속 원전을 비롯한 유럽 원전 시장 수주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두산밥캣은 앞선 24일, 2분기 매출액 2조2366억원, 영업이익 239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따른 높은 기저의 영향과 수요 둔화로 인해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6.3%, 48.7% 감소했다. 

두산로보틱스는 2분기 매출 144억원, 영업이익은 79억원 적자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으나 '오토메이트(Automate) 2024' 참가, 소프트웨어 플랫폼 다트스위트(Dart Suite)의 상용화로 인한 연구개발(R&D) 비용 반영 등으로 영업손실은 소폭 증가했다.

두산로보틱스는 북미법인의 적극적인 영업·마케팅 활동으로 올해 상반기 북미 지역 매출은 전년 대비 155% 증가했으며, 올해 매출 비중의 약 40% 이상이 북미 지역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퓨얼셀의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865억원, 29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5.9%, 488.9% 증가했다. 지난해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에서 수주한 프로젝트의 주기기 공급이 진행되며,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지난해 처음 개설된 일반수소 입찰시장에서 두산퓨얼셀의 낙찰 물량(약 62%)이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반영되면서 하반기도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세가 유지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