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규모 줄고 금리인하에 NIM도 하락…규제 효과 주목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부동산 가격 안정과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강력한 대출 규제로 시중은행들의 하반기 실적에 물음표가 붙고 있다. 은행의 주 수익원인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모가 줄면 실적에도 타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특히 기업대출이 거의 없는 카카오뱅크, 케이뱅크와 같은 인터넷은행들은 더욱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비중이 40~50% 수준인데 반해 인터넷은행의 가계대출 비중은 90%를 넘어선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하반기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당초 계획의 50% 수준으로 줄일 예정이다. 디딤돌과 보금자리론 등 정책자금대출도 연간 공급 계획보다 25% 축소한다. 

시장에는 이미 정부의 전방위적 대출 규제가 시행되고 있다. 지난 1일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상환비율(DSR) 정책이 시행됐고,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는 6억원으로 제한됐다. 연간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당초 예상치보다 최대 20조원 가량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은행은 수익의 80% 가까이가 이자이익에서 나온다. 이 중 절반 가량이 가계대출이다. 주담대 위주의 가계대출은 담보가 확실해 은행 입장에선 기업대출 대비 리스크가 낮고 안정적인 수익원이다. 

4대 금융지주는 올해 상반기에만 10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이 예상된다. 지난해 말부터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지고, 부동산 가격이 들썩이자 가계대출이 급증했다. 다만, 은행 수익성의 핵심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오히려 하락하며 이자이익 규모가 크게 늘지 않았다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 

은행들은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예적금 금리를 내렸다. 그럼에도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따라 대출금리는 유지했다. 예대마진은 커졌지만 기존 대출에는 온전히 적용되지 않고, 신규대출의 경우 규모가 제한되며 예대마진 효과는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올해 1분기 국내 전체 은행의 이자이익은 14조 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0억원 줄었다. 이자 수익의 기초가 되는 대출자산 규모는 3393조 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 늘었지만, NIM이 1.63%에서 1.53%로 0.10%p(포인트) 떨어진 탓이다.

금융권에서는 하반기에도 은행의 NIM 하락 우려가 있다고 보고 있다. 7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가 동결됐지만, 경기침체가 계속된다면 8월에는 한 차례 더 인하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8월 금통위까지 새 정부의 대출규제 강도와 집값, 경기 회복 정도를 면밀히 모니터링 해 금리 인하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은행 입장에서는 가계대출 총량이 절반으로 줄고 금리까지 인하되면 NIM 방어가 더욱 어려워진다. 게다가 이재명 대통령은 지금까지의 대출 규제를 '맛보기' 수준이라며 더 많은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메세지를 던졌다. 

은행은 기업대출을 늘려 수익성을 확보해야 하지만 장기화 된 경기 침체와 미국발 관세 우려로 이마저도 쉽지 않다. 우량 기업들은 대출에 소극적이고, 운영자금이 필요한 기업들은 그만큼 리스크가 높아서다. 리스크가 높은 대출을 확대하면 위험가중자산(RWA)이 늘어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한 비용도 발생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은 규제산업이라 정부의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눈치도 많이 보게 된다"라며 "주주환원을 통한 밸류업을 위해서는 실적이 뒷받침 돼야 하는데 하반기 환경이 녹록치는 않다"고 말했다. 

다만, 3분기까지는 은행 수익성에 큰 타격이 없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규제에 앞서 6월 말 신청된 대출이 실행되기까지 1~2달의 시간이 걸리고, 3분기 실적에 반영될 수 있어서다. 그럼에도 NIM 방어와 4분기 수익성 확보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