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함평에 위치한 '함평농부' 채상희 대표가 무화과 상자를 들고 있다. 사진/쿠팡
전남 함평에 위치한 '함평농부' 채상희 대표가 무화과 상자를 들고 있다. 사진/쿠팡

쿠팡이 지역 농가와의 상생 강화를 지속하고 있다. 폭염·폭우 등 기후변화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농가에서 직접 사들인 과일 매입량이 올해 총 6600톤 가량을 넘어섰다. 

쿠팡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충북 충주, 경북 성주 등 인구감소지역 7곳에서 매입한 과일이 6600톤을 넘어섰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0% 더 많은 양을 매입했다. 연말까지 매입량은 70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쿠팡은 사과·참외·자두·수박·딸기 등 30여 종의 과일을 매입해 전국 새벽배송을 확대하고 있다. 7개 지역 과일 매입량은 2022년 3430톤, 2023년 5610톤, 지난해 5870톤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9월 기준 이미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도서산간·인구감소지역까지 확장된 물류 인프라와 지역 농가 협력 확대의 결과다.

경북 고령의 경우 올해 매입량이 4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배 증가했으며, 전남 영암·함평도 55톤으로 6배 이상 늘었다. 무화과 주산지인 이들 지역은 전국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지만 온라인 판로가 초기 단계였다. 경북 영천도 90% 가까이 증가했으며, 포도·샤인머스켓·멜론이 400톤 이상 팔렸다. 성주는 참외(3200여톤), 충주는 사과·복숭아(2300여톤) 매입 규모가 확대됐다.

지방 농가들은 “쿠팡은 별도 수수료 없이 직거래로 과일을 대량 매입하고 정산도 투명하게 이뤄져 기존 도매시장보다 거래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23년 농산물 유통비용률은 49.2%로 10년 전보다 4.2%p 상승했다. 쿠팡 측은 직거래는 농가의 유통비 부담을 줄이고 매출 창출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전남 함평의 무화과 농가 ‘함평농부’ 채상희 대표는 “쿠팡의 직매입 확대로 판매량이 전년 대비 약 2배로 늘면서 침체됐던 현장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며 “무화과 하우스를 증설해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북 고령군은 기존 포전 거래 대신 직거래를 도입해 매출 안정성을 확보했다. 신혜경 고령군청 농업정책과 유통가공팀장은 “수박 재배 면적이 5년간 30% 감소하며 위기였지만, 쿠팡 직매입을 계기로 공선출하회를 결성하는 등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충주의 ‘수안보 복숭아 공선출하회’는 60여 농가가 협력해 쿠팡과 직거래를 이어오고 있다. 신승창 회장은 “쿠팡의 납품단가가 합리적이어서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되고, 냉해 피해에도 안정적인 직매입 덕에 버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쿠팡은 전북 익산, 경북 안동·봉화, 충청 논산 등 전국으로 농축산물 매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사과 산지에서 ‘못난이 사과’ 200톤을 매입해 상품화하는 등 다양한 상생 기획전을 진행했다.

쿠팡 관계자는 “인구감소지역 농가가 쿠팡을 통해 성장할수록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농가를 발굴해 함께 성장할 기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쿠팡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