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탈원전 이전 경쟁력 회복·2027년 강소기업 100개 목표

정부가 5년간 원전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및 자금 지원에 6750억원을 투입해 방안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2024년까진 탈원전 이전 수준의 원전 경쟁력을, 2027년까지는 원전 강소기업 150개를 육성한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러한 내용의 '원전 중소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지난해 6월 중기부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발표한 원전지원 정책의 후속조치로, 국내 신규 원전 건설, 해외수출 추진 등 원전 시장이 활성화되는 시기에 맞춰 중소기업의 시장 진입을 적기에 지원하기 위해 준비된 것이다.
먼저 앞으로 5년간 '원전 중소기업 특화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라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원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연구반이 작성한 로드맵은 원전 생애주기에 따라 4개 분야, 40개 중점 지원 품목, 180개 핵심기술로 구성됐다.
가장 먼저 '설계' 단계에서는 내진 성능 향상 등 설계 안전성을 높이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중소기업 유망분야를 발굴하고, '제작·건설' 단계에서는 3D프린팅, 레이저빔 용접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공정 효율화와 탄소나노소재 등 고기능 소재 부품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운영·유지보수' 단계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안전성 강화 기술개발을 추진하며, 마지막인 '해체' 단계에서는 해체가 예정된 고리1호기를 통해 현장 수요기술을 확보하고 창업·벤처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중기부는 '디지털 원전 10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먼저 40개 중점 지원 품목 중 10개 품목을 선별해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원전 강소기업을 발굴·육성한다. 또 중소기업, IT기업, 수요기업, 대학 등 다자간 협업방식의 공동개발 과제를 기획하고 민간투자 연계 등 전용 사업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원전 중소기업의 스케일업(성장) 분야에 앞으로 5년간 ▲ 정책자금 2500억원 ▲ 저금리 융자 2000억원 ▲ R&D 1500억원 ▲ 경쟁력 펀드 250억원 ▲ 기술보증 500억원 등 6750억원을 투입한다.
앞서 중기부는 원전 중소기업의 금융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500억원의 정책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2027년까지 투입할 정책자금은 매년 500억원씩 5년간 2500억원 규모다. 동시에 2000억원 규모의 저금리 융자상품을 운영하고, 기술보증도 500억원 한도 내에서 계속 지원하기로 했다.
또 2024년부터는 시중은행과 협력해 250억원 규모의 '원전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펀드'를 조성한다.
R&D와 관련해서는 이번에 발표한 '원전 중소기업 특화 기술개발 로드맵'을 중심으로 15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기업의 시제품 개발비 절감을 위해 기계연구원과 협력해 50% 이상 저렴한 성능시험을 도입하는 한편 원스톱 안전성 검증 서비스를 신설하고, 한국수력원자력과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도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