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G: 배틀그라운드'·'다크앤다커'·'inZOI'·'붉은사막' 등 정보 공개

게임스컴 쇼케이스에서 발표하는 인조이의 김형준 PD. 사진/크래프톤
게임스컴 쇼케이스에서 발표하는 인조이의 김형준 PD. 사진/크래프톤

크래프톤과 펄어비스가 차기 신작에 대한 정보를 독일 쾰른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게임쇼 ‘게임스컴(gamescom) 2024’에서 공개하며 해외 시장 공략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22일 크래프톤은 미디어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PUBG: 배틀그라운드(이하 배틀그라운드)’, ‘다크앤다커 모바일(Dark and Darker Mobile)’, ‘inZOI(이하 인조이)’ 등 주요 출품작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현지 시각 8월 21일에 진행된 쇼케이스는 배틀그라운드의 지난 7년간 여정과 김태현 PD의 메시지를 담은 영상으로 시작했으며, 이후 다크앤다커 모바일의 안준석 PD와 인조이의 김형준 PD가 각각 게임 개발의 과정과 향후 계획을 소개했다.

김형준 PD는 인조이의 개발 배경과 목표를 설명하며, ‘소망하는 삶을 살고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영감을 받아 인조이를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인조이는 이용자들이 자신이 꿈꾸는 외모와 집을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도구를 제공한다. 자체 UGC(User Generated Contents, 이용자 제작 콘텐츠) 플랫폼 ‘캔버스(Canvas)’를 통해 이용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업로드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능 역시 제공한다. 3D 프린터 등 최신 AI 기술을 통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도 창작물을 쉽게 만들 수 있게 한다.

김형준 PD는 ‘소망하는 삶’뿐만 아니라 ‘예상하지 못한 주어진 삶’의 경험도 인조이의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인조이는 도시 전체가 시뮬레이션되는 완전한 커뮤니티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기치 못한 순간들과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용자들은 도시 속 200개 이상의 장소를 꾸미고, 캐릭터들의 감정과 상호작용을 조정해 도시의 변화를 이끌어갈 수 있다. 소문, 패션 트렌드, SNS 밈 등이 도시 전체로 확산되며, 이로써 다양한 이야기가 전개되어 이용자의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

인조이는 8월 21일 글로벌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에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빌드 ‘인조이: 캐릭터 스튜디오(inZOI: Character Studio)’를 공개했다.

게임스컴 쇼케이스에서 발표하는 다크앤다커 모바일의 안준석 PD. 사진/크래프톤
게임스컴 쇼케이스에서 발표하는 다크앤다커 모바일의 안준석 PD. 사진/크래프톤

안준석 PD는 익스트랙션 장르를 기반으로 배틀로얄, 던전 크롤러, RPG 등 다양한 장르의 특징을 융합해 새로운 게임 경험을 제공하는 다크앤다커 모바일의 특징에 대해 강조했다. 또 모바일 게임 환경과 이용자 특성을 고려하면서 익스트랙션 장르 고유의 특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등 개발 과정에서 직면했던 과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발팀의 도전에 대해 이야기했다.

안준석 PD는 탈출과 생존을 기반으로 하는 다크앤다커 모바일의 핵심 게임 플레이, 다양한 클래스, 던전 탐험에 긴장감을 더하는 ‘다크스웜(Darswarm)’ 시스템, 물리 기반의 전투 시스템과 이용자 개인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조작 인터페이스 등을 심층적으로 소개했다.

다크앤다커 모바일은 20일에 진행된 전야제 행사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Opening Night Live)’를 통해 글로벌 사전 예약이 시작한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모바일 기기에서는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갤럭시 스토어, PC에서는 ‘구글 플레이 게임즈(Google Play Games)’를 통해 사전 예약에 참가할 수 있다. 사전 예약을 완료한 이용자는 추후 A등급 용병과 한정판 코스튬 스킨을 받을 수 있다.

펄어비스 '붉은사막' 보스몹 리드데빌(Reed Devil). 사진/펄어비스
펄어비스 '붉은사막' 보스몹 리드데빌(Reed Devil). 사진/펄어비스

펄어비스는 차기작 붉은사막의 보스 3종 전투 영상을 추가로 공개한다. 펄어비스는 19일 최초로 공개한 '하얀뿔'에 이어 ▲리드데빌 ▲사슴왕 ▲여왕 돌멘게 3종 보스 전투 영상을 선보였다. 전투 영상을 통해 각 보스가 갖고 있는 독특한 외형부터 고유한 공격 패턴을 확인하고, 다양한 연계기와 다이나믹하고 깊이 있는 액션을 경험할 수 있다.

리드데빌(Reed Devil)은 작고 왜소한 외형의 인간형 보스로 검과 표창을 사용해 예측하기 어려운 공격 패턴을 갖고 있다. 전투 중간 자신의 분신을 만들어내며 더욱 강력한 공격을 구사합니다. 플레이어는 광활한 갈대밭에서 분신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리드 데빌의 본체를 쓰러트려야 한다.

폐성터의 몰락한 망국의 왕 사슴왕(Staglord)은 검과 방패를 휘두르는 인간형 보스다. 덩치가 큰만큼 예비동작이 크며 힘을 모아 돌진하는 근접 공격의 패턴을 갖고 있습니다.

여왕 돌멘게(Queen Stoneback Crab)는 파이웰의 진귀한 보석을 한 몸에 품고 다니는 보스다. 화면을 가득 채울만큼 가장 웅장한 몸집을 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플레이어는 광물로 뒤덮힌 넓은 등에 올라타 광물의 약한 부위를 강력한 스킬로 파괴하고, 드러난 약점을 공격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