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나라2 출시 ‘깜짝’ 선언…‘빅앤리틀’로 글로벌 공략

김정욱 넥슨 공동대표가 30일 경기도 판교 넥슨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넥슨의 도약을 위한 두 가지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사진/박서린 기자
김정욱 넥슨 공동대표가 30일 경기도 판교 넥슨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넥슨의 도약을 위한 두 가지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사진/박서린 기자

넥슨이 30년간 누적해온 핵심 강점을 극대화해 유저가 더 오래 머물고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글로벌 시장에 선두주자로 매김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IP 프랜차이즈를 강화하고 파이프라인을 확장하는 전략을 추진한다.

넥슨은 30일 경기도 판교 넥슨사옥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넥스트 온’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비전을 발표했다.

먼저, 김정욱 공동대표는 넥슨의 주요 가치를 기업, 사회, IP(지식재산) 총 세 가지로 나눠 설명하며 도약을 위한 두 가지 기업 목표로 ‘세계에서 인정받고 사랑받는 게임을 만드는 기업’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사랑받는 기업’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넥슨인의 각오와 다짐을 모은 ‘크리에이티브 어택’ 전략을 구사하고 이같은 창의성을 발판으로 ‘넥슨다운’ 게임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넥슨은 유저 경험 확장이라는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전방위적인 역량을 연결하고 융합시켜 더욱 발전된 게임 서비스를 추구, 궁극적으로 넥슨 안에서 유저가 더 오래 머물고 즐겁게 가치를 키우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이를 달성하고자 넥슨이 30년간 쌓아온 ‘게임 개발·서비스 노하우’, ‘IP 파워’라는 핵심 강점을 극대화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강대현 공동대표는 ‘서비스 강화’, ‘파이프라인 강화’ 전략을 제시했다.

서비스 강화 측면에서는 IP 파워를 세심하게 발전시키기 위해 프랜차이즈로 묶고 생태계를 구축해 경험의 폭을 넓힌다.

강 공동대표는 “서비스의 강화는 유저 경험의 확장, 유저가 더 즐겁게 넥슨의 게임을 플레이하고 넥슨을 즐겁게 경험할 수 있는 방법적 접근”이라며 “IP는 게임의 세계관이나 캐릭터와 같이 겉모습을 넘어 유저가 게임을 플레이하며 느끼는 경험의 총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 유저의 만족을 넓히는 길이라고 생각했고, 이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IP의 핵심 경험을 공유하는 IP 확장을 계획했다”고 덧붙였다.

메이플스토리는 다양한 IP 확장을 통해 플레이의 경험뿐만 아니라 음악, 웹툰, 굿즈, 팝업스토어 전방위적 영역에서 유저 접점을 강화하고 있다. 던전앤파이터 프랜차이즈는 세계관 확장을 본격화하며 ‘퍼스트 버서커: 카잔’, ‘프로젝트 오버킬’ 등 다양한 게임을 선보인다. 또 넥슨게임즈에서 개발 중인 오픈 월드 액션 RPG ‘프로젝트DW’의 정식 명칭을 ‘던전앤파이터: 아라드’로 확정한다. 이 게임은 던전앤파이터 유니버스 세계관 속 메인 무대인 아라드 대륙을 탐험한다.

마비노기에서는 막바지 개발에 속력을 내고 있는 ‘마비노기 모바일’과 ‘마비노기 이터니티’ 프로젝트를 전개한다. 마비노기 이터니티 프로젝트는 게임의 연속적 서비스를 목표로 기존 엔진을 언리얼 엔진5로 전환한다. 마비노기와 세계관을 공유하는 ‘마비노기 영웅전’ IP로 확장하는 ‘반딕투스: 디파잉 페이드’도 내년 여름 진행될 알파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이날 넥슨은 자사와 슈퍼캣RPG가 협업한 MMORPG인 ‘프로젝트G’가 ‘바람의나라 2’라고 깜짝 발표하며 바람의나라 IP 확장 전략도 밝혔다. 바람의나라2는 원작을 계승한 정식 후속작으로 PC와 모바일 간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할 예정이다.

파이프라인 강화 측면에서는 넥슨의 역량을 퍼블리싱 영역에 도입해 독보적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신작 개발에도 적용한다. ‘FC 온라인’과 ‘FC 모바일’의 게임 코어에 넥슨만의 통합 역량을 적용해 게임 플레이 경험을 확장해 나간다. MOBA 배틀로얄 장르의 ‘슈퍼바이브’와 ‘환세취호전 온라인’도 공개한다.

여기에 큰 규모의 인력이 투입되는 대작 프로젝트는 ‘빅’으로, 소규모 인력으로 참신함을 앞세우는 작은 프로젝트는 ‘리틀’로 집중 개발하는 ‘빅앤리틀’ 전략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빅 프로젝트로는 ‘야생의 땅: 듀랑고’ IP를 활용해 개발 중인 ‘프로젝트DX’와 좀비 아포칼립스 테마의 ‘낙원: 라스트 파라다이스’를, 리틀 프로젝트로는 민트로켓을 통한 게임 개발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멀티플랫폼 전략을 꾀해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한다. 이를 위해 엠바크 스튜디오는 소프트 이포칼립스 테마의 PvPvE 서바이벌 슈터 ‘아크 레이더스’를, 넥슨게임즈에서는 신규IP ‘프로젝트RX’를 개발한다.

강 공동대표는 “이날 설명드린 새로운 프로젝트에는 총 12종의 신작과 신규IP들이 포함된다”며 “앞서 소개한 두 가지 큰 전략 아래 다양한 장르와 IP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투자를 확대해 게임 포트폴리오를 더욱 다양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