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이 부진하면서 우리나라 생산 규모가 세계 7위로 내려앉았다.
10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의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9395만 대다.
2020년 코로나19 15.4% 줄어든 이후 4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특히 도요타, 혼다 등의 품질 인증 문제가 벌어진 일본에서 8.5% 줄었고, 태국20.0%, 스페인 3.0%와 함께 우리나라도 2.7% 감소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지난해 413만 대였다.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 대수는 0.6% 증가했지만 내수 판매가 2013년 이후 최저치인 163만5000대로 6.5% 떨어지면서 생산 규모가 줄었다.
중국, 미국, 일본, 인도, 독일, 멕시코가 한국보다 상위 생산국에 올랐다.
중국은 정부 주도의 내수 진작책과 수출 장려 정책이 연계되면서 전년 대비 3.7% 증가한 3128만 대를 생산하며 1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KAMA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내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기반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올해 중국 업계의 세계 시장 지배력 강화와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은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은 완성차 기업을 포함한 국내 제조 기업들의 해외 생산과 투자 확대를 가속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KAMA는 "미래차 생산과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내수 진작책과 더불어 국내 생산을 촉진·지원하는 '국내생산촉진세제(가칭)' 도입 등 정부의 특단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