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담금납부 6년 유예, 물가인상율 18개월 유예 등도

개포 우성 7차 재건축 사업 입찰이 마감되며 경쟁에 참여한 시공사들의 경쟁이 거세다. 특히 ‘써밋 프라니티’를 내놓은 대우건설이 과감한 사업조건을 제안해 눈길을 끈다.
이중 ‘책임준공확약’ 여부가 가장 큰 관심을 모은다. 개포 우성 7차 입찰에도 참여한 한 건설사가 올해 초 잠실우성1,2,3차 재건축 사업에서 ‘책임준공확약’을 조건에서 제외시켜줄 것을 조합에 요구해 이를 받아들였으나 최종 입찰에 불참해버리는 바람에 결국 시공사 선정이 지연되며 논란이 됐기 때문이다.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의 경우 경쟁 입찰을 유도하기 위해 ‘책임준공확약’ 여부를 시공사 자율에 맡기는 것으로 공고됐다. 다만 정비사업 업계에서는 결국 입찰에 참여한 시공사들이 이를 어떻게 제안하는가가 조합에 대한 회사의 진심을 엿볼 수 있는 '이정표'란 해석이 나온다.
대우건설의 경우 입찰에 오랜 기간 적극적으로 공사 수주를 위해 공을 들이고 있어 일찌감치 책임준공을 확약할 것으로 예상된 바 있다. 한편 경쟁사의 경우 입찰 제안에서 책임준공확약을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
책임준공확약서가 빠질 경우 시공사가 일방적으로 사업을 지연시켰을 때 이를 막을 근거가 약해 조합 측의 피해가 있을 수 있다. 사업비 대출 과정 등에서도 책임준공확약이 요구되어 조합원들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요소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을 갑자기 늘일경우 경우 자사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와 공사비 투입 등을 조절하면서 사업 진행이 지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책임준공확약이 없다면 조합의 피해가 있을 수 있다.
대우건설은 조합이 시공사 자율의사에 맡긴 ‘책임준공확약’ 조항을 스스로 제안ㅡ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에서 수익성보다 조합원을 우선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조합분담금 납부 시점도 조합원을 우선하는 조건을 세웠다. 대우건설은 조합원분담금을 6년간 유예할 수 있도록 해줬다. 공사비 물가인상율도 18개월 유예 조건을 약속했다. 최근 4년간의 소비자물가지수 연평균 상승률 고려하면 약 364억원을 조합이 절감할 수 있단 설명이다.
특히 시공사들이 제안하는 대안설계에 따른 인허가 추진에 비용이 투입되는데 대우건설은 단지와 인근 대청역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제안하며 이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 80억 원을 자체부담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진심을 담은 최상의 사업조건을 제안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의무사항이 아닌 책임준공확약을 제공하고, 조합원 분들의 부담을 줄여들이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제안하게 되었다”며, “개포 우성 7차를 개포지구에서 가장 성공적인 재건축 사업지로 자리매김하여 조합원 모두를 위한 랜드마크 아파트 단지를 만들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