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BBA '금지외국단체' 요건 구체화…배터리부품·광물 절반 이하로 줄여야
SK온, 엘앤에프·에코프로와 협업…GM은 포스코퓨처엠과 협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축소 움직임으로 2차전지 업체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탈중국 공급망을 위한 노력은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22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지난 17일 1148만3000주 규모 유상증자 발행가액을 주당 9만6400원으로 확정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유상증자로 약 1조1000억원을 조달하며 이중 6307억원은 타법인 지분 취득에 사용한다. 세부적으로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와 2차전지 배터리 소재 제조 합작법인에 3534억원을, 천연흑연 공급망 완성을 위한 구형흑연 생산법인 투자에 2773억원을 배정했다.
같은 날 SK온은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 체결했고, 해당 물량은 연말 수급 후 국내 양극재 공장 거쳐 SK온 미국 공장에 최종 공급할 것이라 밝혔다.
엘앤에프는 LFP 자회사를 설립해 내년 하반기 양극재 설비를 가동할 계획이다. 초기 3만 톤에 이어 향후 6만 톤까지 확대한다. 이 물량 또한 SK온 북미 공장으로 향한다. 최근 엘앤에프는 SK온과 북미 ESS 사업 LFP 양극재 공급 MOU 체결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 시장 확대보다는 2차전지 공급망의 탈중국으로 해석해야 한다.
이달 초 미국 의회를 통과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에는 '해외우려단체(FEOC)’ 개념을 보다 구체화한 '금지외국단체(PFE)' 요건이 적용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CATL과 BYD, Envision Energy, EVE Energy, Gotion High tech, Hithium 등 외국통제기관 ▲고위험 국가 소속 기관·기업이 지분과 의결권 50% 비율 초과한 곳 ▲특정외국기관(SFE)이 이사와 임원 등 임명 권한 보유한 곳 ▲단일 SFE 지분이 25% 이상, 복수 SFE 지분 40% 이상 보유한 곳이 PFE에 해당한다. 이때 중국·러시아·이란·북한 등 우려 국가의 기업이 고위험 국가(covered nation) 기업에 포함된다.
미국은 1%의 오류만 발생해도 페널티를 적용하는 등 강한 의지를 드러냈으며, 이에 따른 페널티로는 과소 신고 벌금 10%, 감사 기간 6년 연장, 공급업체 과태료 등 부과 등이 있다.
OBBBA는 PFE로부터 제공받는 원자재와 부품 등 ‘물질적 지원(material assistance)’이 해당 제품의 총비용에서 일정 비율을 넘을 경우 관련 세액공제 자격을 박탈하도록 했다. PFE의 지원 비율은 2026년에 40%에서 2030년 15%까지 줄어들며, 핵심광물은 올해 100%에서 2033년 이후 50% 이하로 맞춰야 한다.
이와 함께 AMPC에 있어서도 1차 적격부품(primary component)이 동일 제조시설 내에서 2차 적격부품(secondary component)와 함께 결합돼 제3자에게 판매되는 경우, 제한 없이 1, 2차 부품 모두 세액공제를 인정하던 것에서 1차와 2차 적격부품들이 모두 한 제조시설에서 생산되고 2차 부품의 생산에 들어가는 총 직접재료비의 최소 65%가 미국 내에서 채굴, 생산 또는 제조된 제1차 적격부품에 해당해야 한다는 조항을 추가함으로써 공급망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이에 대해 법무법인 율촌은 “PFE로 분류될 경우 대부분의 친환경 에너지 세액공제와 첨단제조 세액공제의 적용이 배제됐다”며 “특히 첨단제조 세액공제는 세액공제 적용을 신청한 제품·부품이 모두 제외됐다”고 말했다.
미국 시장 둔화세로 현지 공장 가동 시점이 미뤄지고 있는 SK온으로서는 공급망 확보가 가장 시급하다. 업계에 따르면 SK온이 현지에 짓고 있는 공장을 모두 준공할 시 생산능력은 미국 조지아 1공장(10GWh)과 2공장(12GWh)에 더해 총 180GWh까지 확대되고, 이는 현재 글로벌 전체 152GWh보다도 큰 규모다.
이러한 움직임은 자동차 배터리 보다는 현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에서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OBBBA는 ESS 공장 건설에 있어 비해외금지기관(non-PFE)에 조달해야하는 비율을 착공 시점 기준 2026년 40%에서 2030년 60%까지 확대했다. 여기에는 필요한 부품·기술·광물 등 공급망 전반이 포함된다. 지난해 미국의 ESS 전체 수입금액 186억6700만 달러(약 25조4001억원)며 이중 중국산이 131억2400만 달러로 70%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12억8100만 달러로 7%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