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급식률 4년새 16% 급감…코로나19 이후 회복 불능
日 한국의 3배… 낙농·유업계 "우유 포함 급식 활성화하자 "

학교 우유 급식 소비량이 지난 2019년 이후 급감했다. 이에 국내 낙농계와 유가공 산업군에서 우유 음용률을 높이기 위해 우유를 일반 학교 급식에 포함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다.
3일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따르면, 국내 우유급식률은 2019년 50.3%에서 2023년 33.9%로 4년 새 16.4% 급감했다. 10여년 전만 해도 50%대였던 우유 급식률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1980년대 당시 학교급식법 공포와 함께 정부 주도로 시행된 우유 급식은 국내 낙농업의 발전과 어린이들의 영양 공급을 위해 마련된 제도다.
그러나 우유 급식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이 점차 지자체, 학교 재량으로 전환되자 운영 편차가 발생했다. 여기에 절대적인 학생 수 감소, 어린이들의 흰 우유 기피 현상과 코로나19 당시 등교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면서 우유 급식률이 급감했다.
이에 우유급식률이 우리나라의 3배에 가까운 일본이 모범사례로 떠올랐다. 일본은 학교급식에 우유를 포함한 결과 2023년 우유급식률이 96.1% 달한다. 이에 낙농업계는 우유 음용률 확대를 위해 우유급식을 학교급식과 통합하는 내용의 학교급식법 개정을 추진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지자체 입찰 방식으로 우유를 납품하고 있는 유업계도 이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현재 급식 우유의 절반 이상은 서울우유협동조합이 납품중이다. 이 밖에 남양유업, 매일유업 등 국내 대표 기업과 건국우유 연세우유 학교 브랜드에서도 일부 참여하고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관계자는 "수익성 보다 더 큰 미래를 보고 우유 소비 진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현재는 전반적인 우유 음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급식 활성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우유 급식률 감소 현상을 예의주시 하고있지만 녹록치 않은 현실이다. 지난해 월 1만5000원을 현금카드로 지급하는 우유 바우처 시범 사업을 시행했으나, 올해 예산 중첩 문제로 중단됐다. 사업을 재개할 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농식품부는 올해 연말까지 급식 제도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낙농업계, 유업계는 학교급식법을 개정해 전반적인 우유 소비량을 늘려야 한다는게 공통된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각에서 우유 바우처 사업 등을 재개해서 행정 부담을 덜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지만, 우유 소비량을 늘리는 방법은 우유 급식을 학교 급식에 포함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학교 급식을 통해 지급하는 우유는 200ml당 530원 꼴인데 바우처로 서 편의점, 슈퍼 등에서 2~3배 이상 가격을 주고 우유를 소비하는 것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