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보조금 때문에 상승세" 주장…가스 발전 확대, 원전·석탄은 현실적 대안으론 부족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가파르게 오르는 미국 전기요금으로 인해 에너지 정책에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사진/백악관 홈페이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가파르게 오르는 미국 전기요금으로 인해 에너지 정책에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사진/백악관 홈페이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가파르게 오르는 미국 전기요금으로 인해 에너지 정책에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1일 SK증권에 따르면 미국 내 60여 개 유틸리티 회사는 최근 요금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일례로 Xcel Energy는 올해 9.6%, 내년 3.6%의 전기요금 인상안을 미네소타 공공요금위원회(PUC) 제출한 상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당시 1년 안에 전기요금을 절반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공약을 내세웠지만, 최근 추세는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미국 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기요금 상승률은 1년 전 대비 5.5%로,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의 두 배를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재생에너지를 줄이고 화석연료를 확대하는 방향이며, 이는 최근 전기요금 인상 원인을 재생에너지로 돌리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크리스 라이트(Chris Wright)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재생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주가 기록적인 전기요금 상승을 겪고 있다"며 태양광과 풍력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 투자비용, 보조금과 세액공제 혜택이 전력 비용을 구조적으로 인상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최근 입법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안 ‘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에 따른 재생에너지 보조금 축소 기조는 유지될 전망이다. OBBBA는 보조금 지급 기준을 기존 2030년에서 2026년 7월 5일까지 착공, 2027년 말까지 상업운전을 시작하는 것으로 대상을 축소했다. 이에 따라 블룸버그NEF는 2030년 기준 재생에너지 설치량 전망치를 OBBBA 적용 이전 대비 23% 축소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 시장 둔화세를 대체해 국내 2차전지 업체들의 실적을 책임질 것으로 여겨지던 ESS 시장의 성장세도 불투명해졌다.

에너지 공급량을 크게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재생에너지를 배제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30년 미국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은 2024년 대비 240TWh, 130% 증가한다. 또 1인당 데이터센터 소비량은 1200kWh로 전체 가구 연간 소비량의 10%며, 2위인 중국보다도 6배 높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는 가스와 석탄, 원자력으로 전력 공급량 늘리겠다는 입장이며, 이에 따라 LNG 수출터미널 건설 재개, 미국내 신규 원전건설 발표, SMR 인허가 신속처리, 우라늄 비축 확대 등 정책을 도입한 상태다.

가장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여겨지는 발전원은 가스다. 미국 전체 전력 발전량 중 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12%에서 2023년 43%까지 크게 늘었다. 미국은 2030년까지 최대 80개의 천연가스 발전소를 지어 총 46GW의 전력 공급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 관련 데이터 분석기업 인베러스(Enverus)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미국 개발 계획 가스화력발전소 프로젝트가 가동될 경우 100GW의 공급량이 늘어나며, 이는 8000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원전과 석탄은 당장의 대책으로 분류하기 어렵다. 원전 건설은 최소 10년이 걸리며, 특히 국내 업체로서는 미국 원전 시장이 확대되도 웨스팅하우스와 계약에 따라 북미 시장은 진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수혜를 볼 가능성도 낮아졌다. 지난 9월 한국전력공사가 웨스팅하우스와 미국을 포함해 글로벌 원전사업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지만, 실질적인 후속 단계 나와야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석탄은 기존 폐쇄하기로 한 발전소를 재가동하는 차원에서 발전량을 늘릴 수 있다. 석탄이 미국 전력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52%에서 2023년 16% 수준으로 감소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40년까지 총 51개, 전체 대비 약 25%의 화력발전소가 폐쇄될 예정이었지만, 최근 전력 수급난에 17개 발전소를 재가동하기로 결정했다. 문제는 화력발전소 폐쇄 조치가 재생에너지 대비로도 비용적 측면에서 경쟁력을 상실한 것으로 판단됐던 점이다.

SK증권은 "(미국 전기요금은)규제 기관인 공공요금위원회(Public Utility Commission)가 인정한 자산(rate base)에 적정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보장받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유틸리티 업체들의 설비투자가 증가할수록 요금인상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는 구조다"며 "미국의 전기요금 상승이 전년 대비 10%까지 도달해서 공화당의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친다면 에너지 정책의 방향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