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바이오팜은 올해 3분기 매출 1917억원, 영업이익 701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0.4%, 262.4% 늘어났다.
회사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미국 내 가파른 성장세를 바탕으로 이러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전했다. 이번 3분기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은 전분기 대비 11.7%, 전년 동기 대비 51.9% 성장한 1722억원이다. 누적 매출은 4595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을 뛰어넘었다.
SK바이오팜은 전 분기 대비 기타 매출이 감소하고 판관비가 증가되었음에도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은 엑스코프리 매출 증대에 따라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연령 확대를 통해 시장 확장을 노리고 있다. 지난 9월에는 연초 계획보다 빠르게 일차성 전신 강직-간대발작(PGTC)으로의 적응증 확장에 대한 임상 3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확보하며 약효와 안전성을 확인했다. 또 처방 연령층 확대를 위해 소아 연령 확장 안전성 임상은 최근 환자 모집을 완료했으며 현탁액 제형(Oral suspension)에 대한 신약승인신청서(NDA)를 연내 제출할 계획이다.
지난 3일 동아ST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한 세노바메이트의 NDA가 승인되고, 지난해 말 그니스 테라퓨틱스의 중국 NDA 제출에 이어 지난 9월 일본 파트너사 오노약품공업이 일본 NDA를 제출로 한국∙중국∙일본 아시아 3국으로의 진출도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는 세노바메이트 판매를 통해 구축한 미국 시장 내 직판 체계와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할 세컨드 프로덕트의 도입을 추진 중이며, 지난해 기술도입한 방사성의약품(RPT) 후보물질 'SKL35501'의 임상시험계획(IND) 제출 준비와 함께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의 추가 도입도 계획 중이다.
여기에 신약의 발굴·개발·치료 전(全) 과정을 인공지능(AI) 기반 혁신으로 연결하고, AI/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의사 및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AI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의료∙헬스케어 분야 컨소시엄에 참여해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지난 달에는 중남미 대표 제약사인 유로파마 (Eurofarma)와 AI 기반 합작법인 멘티스 케어(Mentis Care)를 캐나다에 공식 출범하여 뇌전증 환자 관리 플랫폼·웨어러블 기기 기반 디지털 치료 솔루션 개발에 착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