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대표 재건축 단지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정비계획안이 7년 만에 첫 삽을 뜰 것으로 전망된다. 총 6815세대로, 최고 50층 높이의 대규모 재건축 사업이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이날 심의를 열어 잠실주공5단지 정비계획안을 수정 가결했다. 주민들이 정비계획안을 마련한 지 7년 만이다.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로는 주요 재건축 단지 중 사업 정상화가 처음 가시화되는 사례이기도 하다.
정비계획안 통과로 잠실5단지는 현재 3930세대에서 6815세대(공공주택 611세대 포함) 대규모 단지로 변신한다. 잠실역 역세권에 걸쳐있는 용지는 업무·상업·문화 기능 강화를 위해 용도지역을 상향(제3종일반주거→준주거)해 최고 50층 건립이 가능해졌다. 잠실역 주변이 서울의 미래 청사진인 '2030 서울플랜' 상 잠실 광역권의 중심인 만큼 그 위상을 고려한 조치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당초 조합이 잠실역 부근 복합용지 내에 계획했던 호텔은 코로나19 등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무산됐고, 대신 아파트 약 100세대를 추가 공급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됐다.
잠실5단지(송파구 잠실동 27번지 일대 총 35만8077㎡)는 1978년도에 건립돼 올해로 준공 45년을 맞은 송파구 최대 재건축 단지다. 2014년 재건축 사업 준비에 착수했으나 2017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이후 학교용지 확보와 관련한 시와 조합 측의 이견으로 교육환경평가 심의가 3년 이상 지연지면서 사실상 사업이 중단됐다.
그러나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재건축 정상화 추진에 따라 사업 재개 절차에 돌입했고, 지난해 8월 교육환경평가 심의를 통과했다. 이번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는 두 번의 심의를 거쳐 공원 내 공원시설의 공공주택 전환, 교육환경평가 결과에 따른 학교용지 면적 증가 등을 수정 가결했다.
잠실5단지 정비계획은 이번에 수정 가결된 내용을 반영해 재공람 공고 후 최종 결정·고시된다. 이후 교통영향평가와 서울시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건축계획이 확정된다.
한편 여의도와 압구정 등도 사업 정상화 단계를 밟고 있다. 여의도와 압구정 아파트 지구에서는 일부 단지가 신속통합기획을 신청한 상태다.
시는 지구단위계획과 정비계획 결정 절차를 병행해 단지별로 신통기획 완료 시점에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할 예정이다.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이미 정비계획이 입안된 상태로, 정비계획 입안권자인 강남구와 협의해서 정비계획 결정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