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0.53%↓·S&P500 0.54%↓…예상보다 뜨거운 PPI 부담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하락 마감했다.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 가운데 미국 도매 물가가 2년래 가장 가파른 상승률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불안감이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12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4.44포인트(0.53%) 하락한 4만3914.1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2.94포인트(0.54%) 떨어진 6051.25, 나스닥종합지수는 132.05포인트(0.66%) 내린 1만9902.84에 장을 끝마쳤다.
지수 약세의 원인은 예상보다 뜨거운 11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에 투자자들이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11월부터 '트럼프 랠리'가 강하게 펼쳐진 가운데 뜨거운 물가가 차익 실현을 부추겼다.
미국 노동부는 11월 PPI가 전년 동기 대비(계절 비조정)로는 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3년 2월의 4.7% 상승 이후 가장 가파른 연간 상승률이다.
또한 시장 예상치 2.6% 상승도 웃돌았다. 전월 대비로도 0.4% 상승해 시장 예상치였던 0.2% 상승을 상회했다.
미국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예상치를 웃돌며 증가한 부분은 고용과 경기 둔화에 대한 불안감을 자극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12월 7일로 끝난 일주일간 신규로 실업보험을 청구한 사람은 계절 조정 기준 24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10월 6~12일 주간의 24만2000건 이후 2개월래 최고치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은 애플과 엔비디아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최근 강세를 보였던 테슬라와 알파벳은 1% 이상 하락했고 엔비디아도 구글이 인공지능(AI) 서비스 '제미나이'에 자체 개발한 반도체를 사용했다는 소식으로 1% 이상 떨어졌다.
엔비디아는 이날 하락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 시총 2위 자리를 내줬다.
한편 유럽중앙은행(ECB)은 3대 정책금리를 25bp(1bp=0.01%포인트)씩 인하했다. 예금금리는 기존 3.25%에서 3.00%로, 재융자금리(레피금리)는 3.40%에서 3.15%로, 한계대출금리는 3.65%에서 3.40%로 조정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마감 무렵 5.3%로 전날 대비 소폭 반등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34포인트(2.50%) 오른 13.92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