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79곳 3분기 순익 1651억…3분기 연속 흑자
연체율 2년만에 6%대로…부실채권 적극 매상각 영향
"영업 제약요인 여전…본격적인 수익성 제고는 아직"

저축은행업계가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채권 정리를 본격화하면서 올해 3분기 연체율이 약 2년 만에 6%대로 떨어졌다. 또한 3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하면서 올해 누적 당기순이익도 4000억원대로 뛰었다.
1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1651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손충당금 선제 적립 효과로 전입규모가 줄면서 3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해 올해 누적 당기순이익은 4221억원으로 늘었다.
부실채권 정리에 적극 속도를 내면서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3분기 연체율은 6.90%로 전 분기(7.53%)보다 0.63%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9.57%로 전 분기 대비 1.25%포인트 떨어졌으며 가계대출 연체율은 4.76%로 소폭(0.16%포인트) 상승했다.
분기 말 6%대 저축은행 연체율은 2023년 말(6.55%) 이후 1년 9개월 만이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이후로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 1분기 말에는 9%대까지 뛰었다가 2분기에 7%대로 떨어졌다.
이는 PF 공동펀드 조성 등으로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매·상각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업권은 올해 3분기에 1조7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 등을 매·상각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8.79%로 전분기(9.49%)보다 0.70%포인트 하락했다.
유동성비율과 대손충당금비율은 각각 122.31%, 110.83%로 모두 법정기준(100%)을 넘어섰다.
총 자산은 12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총여신 규모는 93조4000억원으로 1조5000억원 감소했다. 채권 매·상각 규모가 늘고 경기회복 지연, 가계부채 관리 등으로 대출 취급이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연말 수신 만기에 대비한 예금 유치 등의 영향으로 수신 규모는 105조원으로 전 분기보다 5조5000억원 증가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실채권의 적극적인 정리를 통해 자산건전성도 회복되고 있고 3분기 연속 당기순이익 시현 등 수익성도 개선돼 경영안정성은 양호했다"면서도 "가계부채 관리강화 기조 지속 및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증대 등이 영업상 제약요인으로 여전히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영업확대 전략 보다는 자산건전성 제고,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둔 경영전략을 시행하겠다"고 부연했다.
향후 전망과 관련해서는 영업 확대를 통한 본격적인 수익성 제고는 아직 쉽지 않다고 판단했다.
중앙회는 "최근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이 회복세로 전환되는 등 거시경제 여건이 일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건설업 등 부동산 경기 침체 지속, 거래자 채무상환능력 회복 지연 등 잠재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지 않고 있어 영업 확대를 통한 수익성 제고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본격적인 턴어라운드에 앞서 건전성 제고 등 체질 개선을 통한 내부 역량 축적에 우선순위를 두고 영업 경쟁력 확충을 위해 온투업 연계대출 확대, 대안신용정보 확충 등 신용평가 역량 제고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서민금융 기관으로서의 역할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 영세사업자 및 중·저신용자에 대한 금융공급은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