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일동제약그룹
사진/일동제약그룹

일동제약그룹은 신약 R&D 계열사 아이리드비엠에스가 미국 흉부학회(ATS 2024)에서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IL1512'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특발성폐섬유증은 폐실질의 섬유화가 점점 진행되는 간질성 폐렴(ILD)의 일종이다. 진단 후 5년 생존율이 40% 미만인 난치성 희소질환에 해당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오는 2030년 관련시장 규모는 약 61억달러(약 8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IL1512는 케모카인 수용체 중 염증 유발과 섬유화에 밀접하게 관여하는 CXCR7에 대해 강한 선택성과 함께 작용제 기전을 갖는 혁신 신약 후보물질이다.

CXCR7은 케모카인 리간드 중에서도 CXCL11·CXCL12와 결합하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로 섬유화와 염증 유발을 증폭하는 신호 전달상의 핵심 매개체다.

아이리드비엠에스는 IL1512를 섬유아세포 활성화와 조직 복구·혈관 신생 등 폐섬유증의 진행 메커니즘을 조절하고 증상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표적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블레오마이신으로 유도된 폐섬유화 모델 동물시험에서 IL1512을 1일 1회 경구 투여했을 때 농도 의존적인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기존의 표준 치료제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다. 또한 기존 치료제의 부작용 중 하나인 체중 감소가 나타나지 않는 등 안전성 측면에서도 좋은 결과가 보고됐다.

아이리드비엠에스는 IL1512로부터 개선된 전임상 후보물질을 특정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GLP(비임상시험관리기준) 독성 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다.

향후 폐 외에 다른 장기에도 유효한 항섬유화 약물로 개발할 방침이다. 원활한 상업화 추진을 위해 신속 심사와 희귀의약품 지정 제도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아이리드비엠에스는 지난 2020년 설립된 신약 R&D 전문 회사다. 항섬유화 약물을 비롯해 고형암과 퇴행성신경질환 등의 분야에서 다수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R&D를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