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19일부터 착수…예보한도 상향에 PF 투자 확대 선제차단 성격

금감원은 이번 주 자산 기준 2위 대형사인 OK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돌입한다. 사진/박윤식 기자
금감원은 이번 주 자산 기준 2위 대형사인 OK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돌입한다. 사진/박윤식 기자

금융감독원이 OK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저축은행 10여 곳에 현장검사에 나선다.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정상화 추진 과정에서 부실 사업장 정리를 미루고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저축은행들이 타깃이 됐다.

금감원은 현장검사와 별개로 모든 저축은행에 연체율 관리 목표를 제출하도록 했는데 예금보호한도 상향에 따른 수신 경쟁 및 고위험 투자 확대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조치로도 풀이된다.

18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 주 자산 기준 2위 대형사인 OK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돌입한다.

그간 현장점검이나 예금보험공사와의 공동검사를 위주로 저축은행 건전성을 관리해 왔던 금감원이 직접 칼을 빼든 셈이다.

특히 OK저축은행에는 13조원대의 자산 규모를 감안해 대규모 검사 인력을 투입한다. 그간 통상적인 저축은행 검사 인력 규모(6~7명)와 비교해 2~3배에 달하는 인원이 현장에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를 통해 부실 정리와 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전반을 살펴볼 계획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6월부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바꾸고 부실 사업장의 신속한 정리를 유도해왔으나 OK저축은행을 포함한 저축은행들의 부실 정리가 지연되면서 연체율이 꺾이지 않고 있다.

이번 저축은행업권 현장검사는 오는 예금보호한도 상향과 맞물려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려는 선제 조치로도 해석된다.

오는 9월 1일 예금보호한도가 24년 만에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될 경우 은행권에 비해 높은 수신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에 대규모 자금 이동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2금융권에 과도한 자금이 몰릴 경우 부동산 PF 등 고위험 분야 투자가 다시 자극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국내 79곳 저축은행에 연체율 관리 목표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오는 19일 저축은행 CEO(최고경영자)와 임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건전성 관리 워크숍도 연다.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8.52%로 전년 말(6.55%) 대비 1.9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5년 말(9.2%)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다.

PF성 대출 연체율은 18.9%로 2023년 말(8.6%) 대비 10%포인트 이상 올랐고 일반기업 대출도 같은 기간 7.6%에서 9.0%로 올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