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자산운용 "에너지 전환·AI 인프라 확대 수혜 종목 수익률 우수"

신한자산운용의 '신한글로벌탄소중립솔루션펀드'가 해외주식형 글로벌주식 유형펀드 중 중단기 수익률 1위를 달성했다.
24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신한글로벌탄소중립솔루션펀드의 1개월, 3개월, 9개월 수익률은 각각 12.86%, 35.01%, 55.18%로 해외주식형 글로벌주식유형 펀드 172개 중에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탈탄소 정책 강화와 AI(인공지능) 산업 성장에 따른 에너지 인프라 수요가 확대되며 관련 섹터가 주목받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기후에너지부 신설, 2040년 석탄 발전 전면 폐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등 구체적인 에너지 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또한 AI 산업 급성장에 따른 전력 공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원자력 확대 등 전력망 확충에 집중하고 있다.
신한글로벌탄소중립솔루션펀드는 이러한 시장 환경에 맞춰 적극적인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시장 대비 초과성과를 실현하고 있다. 올해 초 과열된 시장 국면에서는 비중을 전략적으로 축소했고 이후 조정 구간에서 전력기기, 원전, 신재생에너지 섹터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반등 구간에서 높은 성과를 거뒀다.
최근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디지털 인프라 확대에 발맞춘 핵심 종목들의 강한 상승세가 펀드 수익률을 견인했다. 특히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을 보유한 뉴스케일 파워는 펀드 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최대 수익 기여 종목으로 부각됐다. GE 버노바(고효율 전략장비),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AI 기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등 또한 강세를 보이며 성과를 뒷받침했다.
이외에도 신재생 원자력기반의 전력 공급사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AI반도체 선도 기업 엔비디아, 데이터 전력장비 공급업체 버티브 홀딩스 등 에너지, AI 인프라 대표 종목들이 모두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하며 펀드의 성장세를 이끌었다. 이들 종목 모두 글로벌 탈탄소 및 디지털 인프라 확대라는 구조적 트렌드의 중심에 있는 기업들로 해당펀드는 이 같은 성장 모멘텀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우수한 성과를 실현하고 있다.
신한자산운용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미국시장은 중동발 지정학적 불확실성, 지수 급등에 따른 피로감, 금리인하 시기, 부채한도 협상 관련 불확실성 등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국내 주식시장은 AI 산업 주도 성장 등 신정부 정책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어 주도 섹터 변화에 집중하여 시장에 대응할 계획이다"라고 했다.
이어 "다만 여름철 전력수요 급증에 따른 블랙아웃 우려감 등 하반기에도 AI 데이타센터 설치와 함께 미국 역시 시장의 전력수요는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이에 따라 관련 업종을 주의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