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삼성전자 4%대 상향…LG디스플레이 27% 급등
美비자 정책에 운송 5%대 낙폭…대한항공 9%·HMM 6%↓

사진/연합뉴스TV
사진/연합뉴스TV

3분기 종료를 앞두고 국내 코스피 상장사의 업종별 실적 전망이 뚜렷하게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가스와 반도체 업종은 전망치가 상향돼 전체 코스피 영업이익 추정치를 끌어올린 반면, 음식료·운송·건설 등 내수 및 경기민감 업종은 일제히 하향 조정됐다.

28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98개 코스피 상장사의 연결 기준 3분기 예상 영업이익 합계는 지난 27일 기준 45조8956억원으로 전월 대비 0.29% 증가했다. 집계는 지난 3개월 이내 복수의 증권사가 실적 전망치를 제시한 19개 업종이 대상이다.

19개 업종 중 13개 업종은 하향됐고, 5개 업종은 상향됐다. 나머지 1개는 같았다. 소수의 업종이 전체 코스피 상장사 전망치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 보면 전기가스 업종의 영업이익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가 8월 27일 5조2009억원에서 지난 27일 5조3425억원으로 가장 큰 폭인 2.72% 뛰었다. 종목별로는 한국전력이 2.77%, 한국가스공사가 2.01% 상향 조정됐다.

NH투자증권 이민재 연구원은 "이재명 정부는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의지를 정부 조직 재편, 전기 요금 인상 필요성 등으로 피력했다. 이 대통령이 직접 중장기 전기요금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한 만큼 인상 가능성도 기대해 볼 수 있다"며 한전을 유틸리티 업종 내 최선호주로 꼽았다.

전기·전자 업종의 상승률이 2.26%로 뒤를 이었다. 해당 업종의 예상 영업이익은 20조8197억원으로 코스피 상장사 전체 추정치의 절반에 육박했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10조6776억원으로 전월보다 4.07% 올려잡았다. 삼성전자는 8조7945억원에서 8조7574억원으로 0.42% 내려갔다.

애플 호재에 4년 만에 흑자전환이 예상되는 LG디스플레이의 예상 영업이익은 2894억원에서 3천694억원으로 27.65% 급등했다.

신한투자증권 남궁현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는 전방 수요 부진으로 2022∼2024년 적자를 기록하며 사업 고도화에 집중했다"면서 "3분기에는 영업이익이 4천579억원으로 흑자전환하고, 내년 성장이 본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화학(0.27%), 증권(0.03%), 제조업(0.52%) 영업이익 전망이 밝아졌다.

운송·창고는 -5.63%로 비슷한 낙폭을 보였다. 대한항공이 7322억원에서 6639억원으로 9.33% 하향 조정됐고. HMM과 팬오션도 각각 5.94%, 8.45% 내려갔다.

오정하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한항공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비자 정책 변동성 우려로 미주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 관광) 수요 둔화가 나타나면서 여객기 부문에서 아쉬운 실적으로 거둘 수 있다"고 내다봤다.

건설(-3.24%), IT서비스(-2.88%), 운송장비·부품(-2.50%), 기계·장비(-2.03%), 금속(-1.99%), 오락문화(-1.95%) 등도 한 달 사이에 전망이 더 어두워졌다.

조창민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3분기 이익 전망치 반등 국면에서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유틸리티, 상사, 자본재 등의 상향 조정 비율이 높았고, 이익 기여도 측면에서는 반도체가 절대적이었다"고 했다.

키워드

#코스피 #3분기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