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등 남북경협 준비 채비…성장성 정체 문제 해결

[중소기업신문=김경호 기자] 건설업이 남북경제 교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남북경협사업이 본격화 될 경우 SOC(사회간접자본) 조성에 수십조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그동안 해외 시장에서 막대한 손실로 국내 주택 시장에 올인해 온 건설사들에게 남부경협이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남북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이 채택된 이후 비핵화를 전제로 남북경협에 대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남과 북은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자"고 합의했다. 이에따라 정부는 기존 10·4선언에서 합의한 사업을 중심으로 실무 검토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0·4 남북 공동선언'은 2007년 10월2~4일 평양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합의하고 발표한 선언문으로 개성~신의주 철도 및 개성~평양 고속도로 건설, 백두산~서울 직항로 개설, 안변·남포 조선협력단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경제특구 건설 등이 포함됐다.

증시 전문가들은 남북경협의 최대 수혜주로 건설업종을 꼽고 있다. 남북을 잇는 도로는 물론 모든 걸 원점에서 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재무여력과 투자 경험이 풍부한 국내 건설사가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토연구원이 분석한 북한의 철도·도로·항만·공항 분야의 프로젝트 규모는 44조원에 달한다. 이 중 남한이 수행할 수 있는 사업규모는 전체의 64%에 해당하는 28조원으로 추정된다. 플랜트 사업과 환경단지 조성 등을 포함하면 이 규모는 더 커진다.

그동안 건설업은 해외 시장에서 수익성 악화로 국내 주택시장에 주력을 확대해왔다. 하지만 뇌물 의혹이 터질 정도로 수주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새로운 성장성 확보에 대한 고민이 깊어진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남북경협이 본격화 될 경우 건설사들은 새로운 기회를 잡게 된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는 물론 국내 건설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이 큰 것이 사실”이라며 “이미 주요 건설사들은 TF를 신설하는 등 사전 준비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실제 대우건설은 대북 SOC사업 관련 TF 신설을 구체적으로 검토 중이다. 토목, 발전 플랜트 등 실무진 10여 명이 TF에 참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도 두각을 나타낼 전망이다. 현대건설은 현대아산의 2대 주주로 대북 경수로 사업과 정주영 체육관 등 대북사업을 진행했다.

아울러 대한건설협회는 건설업계와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통일포럼'을 구성해 경협준비 나선다. 포럼은 통일 한국의 국토를 재건할 '한반도 개발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 청사진에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바탕으로 남북한을 잇는 철도 및 도로, 항만 등 교통시설 구축과 산업단지 조성, 발전시설 확충, 도시개발, 관광단지 개발, 경제특구 조성 등 실질적인 계획과 실행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